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5

[MongoDB] 몽고디비 실행 방법

1. db 데이터 저장할 폴더 생성 데이터 저장할 폴더를 생성해 준다. 아무 경로에다가 폴더 만들어주면됨. 나는 아래 경로에다 만들었다. C:\data\bin 2. CMD 열기 3. 몽고디비 bin 디렉토리까지 이동 * 주의 : 4.4 는 본인 몽고디비 버전을 적어주면 된다.(경로가서 확인하면 됨) 만약 몽고디비 경로를 환경 변수 등록해 줬다면 굳이 디렉토리 이동 할 필요가 없다. C:\Program Files\MongoDB\Server\4.4\bin> 4. 몽고디비 실행 --dbpath 뒤에다가 1번에서 자신이 만든 디렉토리를 적어주면 된다. mongod --dbpath C:\data\bin 5. 실행 결과 아래 그림 같이 나오면 몽고디비가 실행된 거다.

MongoDB 2024.01.31

[Arduino] 아두이노 IDE 다운로드 및 설치

1. 아래 사이트 방문 https://www.arduino.cc/ Arduino - Home www.arduino.cc 2. SOFTWARE 클릭 3. 자신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선택하면 된다. Windows는 win 10 and newer, 64 bits 클릭 4. JUST DOWNLOAD 클릭 기부 해 달라고 하는 페이지. 그냥 다운로드 클릭하면된다. 5. 계속 클릭 6. arduio-ide_2.1.0_....exe 클릭 7. 동의함 8. 다음 9. 설치 10. Arduino IDE 실행하기 체크 -> 마침 11. 아래 화면이 나오면 설치 성공^^

Arduino 2024.01.30

[C++] 클래스 객체 정적 할당, 동적 할당 하는 법

class : 객체를 사용하기 위한 틀이라고 많이 표현한다. class안에 변수, 함수를 선언하며 class 안에 있는 변수, 함수를 멤버변수, 멤버함수라고 부른다. 객체 : class라는 틀을 그대로 복사해 온다. 복사를 했으므로 class에 있는 멤버 변수, 멤버 함수를 사용 할 수 있다. class 안에 있는변수,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객체를 만들어 줘야 한다. class가 하나만 존재 하면 수 많은 객체를 생성 하여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생산성이 좋다고 표현한다. 객체 생성 방법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정적할당(stack) 아래 코드를 보면 function 이라는 객체가 멤버 변수 num을 접근 할때 ' . '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을 볼수 있다. (int num = function..

C++ 2024.01.30

[Visual studio] Visual Studio에서 git, GitHub 사용하기

visua studio에서 push, commit, pull 같은 간단한 명령을 사용 할 수 있다. visua studio 에서 사용 못하는 명령어는 git bash에서 사용한다. 게시글은 visual studio 2022 버전 이지만 다른 버전도 방법이 다 비슷하기 때문에 아무버전이나 일단 배우면 된다. 목차 1.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만들기 2. Git Hub에서 원격 저장소 만들기 3. Visual Studio에서 git 로컬 저장소 만들기 + 원격 저장소 연결 4. 커밋하기 5. push 하기 1.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만들기 원격 저장소에 올릴 프로젝트 하나 만들어 주자. 1. C:\GitExample 경로에 프로젝트를 만들고 cpp, h 파일을 만들어 줬다. 2..

Visual Studio 2024.01.30

[Git] error: remote origin already exists 에러 해결

error: remote origin already exists 에러 해결 방법. 이 에러는 다른 원격 저장소와 이미 연결되어 있어서 연결을 할 수 없다는 거다. 이럴 땐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연결을 끊고 다시 원하는 주소로 연결 해주면 된다. 1. 에러 가 뜬다. 2.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연결을 끊자. git remote remove origin 3.입력 해주면 정상적으로 된다.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

Git & GitHub 2024.01.30

[Git & GitHub] 8. git 로컬 저장소, GitHub 원격 저장소 삭제하기

- Git 로컬 저장소 삭제 Git Bash에서 로컬 저장소 삭제 명령어가 제공 되지 않으므로 직접 로컬 저장소 폴더에 가서 파일을 삭제해 준다. 노란색 칠한 얘들 삭제 해주면 로컬 저장소가 삭제 된다. .git 폴더 삭제. .gitattributes, .gitignore가 있으면 삭제. 만약 .git이 안보이면 보기 -> 표시 -> 숨긴 항목 해주면 .git 폴더가 보인다. - GitHub 원격 저장소 삭제 1. 프로필 -> Your repositories 클릭 2. 삭제 하려는 원격 저장소 선택. 3.Settings 클릭 4. 맨 밑으로 내리면 Danger Zone이 나온다. Delete this repository 클릭. 5. I want to delete this repository 클릭. 6. ..

Git & GitHub 2024.01.30

[Git] 7. 로컬 저장소 업데이트 하기(pull)

pull은 원격 저장소에 새롭게 수정된 버전이 있으면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명령어다. - pull 명령어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서 git bash를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로컬 저장소가 원격 저장소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된다. git pull origin master - pull 명령어 예제 pull 명령어를 처음 써봐서 잘 모르겠다면 아래 내용을 따라해보자. 로컬 저장소2 에서 변경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올린 뒤 로컬 저장소1이 pull 하는 방법을 작성 했다. - 사전 준비 1. 로컬 저장소1(Git_Example), 로컬 저장소2(Git_Eample2) 총 2개를 만들었다. 2. 로컬 저장소2(Git_Eample2)에서 README.txt 파일을 수정 할거다. README.txt..

Git & GitHub 2024.01.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