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GitHub 10

[Git] error: remote origin already exists 에러 해결

error: remote origin already exists 에러 해결 방법. 이 에러는 다른 원격 저장소와 이미 연결되어 있어서 연결을 할 수 없다는 거다. 이럴 땐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연결을 끊고 다시 원하는 주소로 연결 해주면 된다. 1. 에러 가 뜬다. 2.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연결을 끊자. git remote remove origin 3.입력 해주면 정상적으로 된다.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

Git & GitHub 2024.01.30

[Git & GitHub] 8. git 로컬 저장소, GitHub 원격 저장소 삭제하기

- Git 로컬 저장소 삭제 Git Bash에서 로컬 저장소 삭제 명령어가 제공 되지 않으므로 직접 로컬 저장소 폴더에 가서 파일을 삭제해 준다. 노란색 칠한 얘들 삭제 해주면 로컬 저장소가 삭제 된다. .git 폴더 삭제. .gitattributes, .gitignore가 있으면 삭제. 만약 .git이 안보이면 보기 -> 표시 -> 숨긴 항목 해주면 .git 폴더가 보인다. - GitHub 원격 저장소 삭제 1. 프로필 -> Your repositories 클릭 2. 삭제 하려는 원격 저장소 선택. 3.Settings 클릭 4. 맨 밑으로 내리면 Danger Zone이 나온다. Delete this repository 클릭. 5. I want to delete this repository 클릭. 6. ..

Git & GitHub 2024.01.30

[Git] 7. 로컬 저장소 업데이트 하기(pull)

pull은 원격 저장소에 새롭게 수정된 버전이 있으면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명령어다. - pull 명령어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서 git bash를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로컬 저장소가 원격 저장소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된다. git pull origin master - pull 명령어 예제 pull 명령어를 처음 써봐서 잘 모르겠다면 아래 내용을 따라해보자. 로컬 저장소2 에서 변경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올린 뒤 로컬 저장소1이 pull 하는 방법을 작성 했다. - 사전 준비 1. 로컬 저장소1(Git_Example), 로컬 저장소2(Git_Eample2) 총 2개를 만들었다. 2. 로컬 저장소2(Git_Eample2)에서 README.txt 파일을 수정 할거다. README.txt..

Git & GitHub 2024.01.30

[Git & GitHub] 6. GitHub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가져오기(clone)

GitHub 같은 원격저장소의 파일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것을 clone 이라고 한다. 1.원격 저장소(Git Hub)의 파일을 다운 받기 위해 새로운 폴더를 만든다. 아직 일반 폴더 이지만 clone을 하면 저절로 원격 저장소로 만들어진다. (C 드라이브-> Git_Eample2 폴더를 만들었다.) 2.GitHub 사이트에 들어가서 원격 저장소 주소를 복사 해 줘야 한다. 프로필 클릭 -> your repositories 클릭 3. 자신의 저장소 이름 클릭. 4. Code 클릭 -> 주소 복사 5. 방금 만든 Git_Eample2 폴더로 가서 우클릭 -> Git Bash Here 실행 5. 이제 원격 저장소의 파일을 가져와 보자. 아래 명령문 입력 후 엔터. 주의 : 주소 입력 후 띄어쓰기 한 뒤 ..

Git & GitHub 2024.01.30

[Git & GitHub] 5. GitHub에 파일 올리기(Push)

로컬 저장소에서 commit 후 원격 저장소인 GitHub에 파일을 올릴려면 push 명령어를 사용한다. 1. 원격 저장소 만들기 우선 GitHub에 원격 저장소를 만들어야 한다. 1. GitHub에 들어가서 프로필 -> New repository 클릭. 2. Repository name에 저장소 이름을 작성, Description 에 설명 작성 후 Create repository 클릭 3. 원격 저장소가 생성 됐다. 아래 https://github.com/WelchsBanana/GitExample.git 가 저장소의 주소다. 2. 원격 저장소에 파일 올리기 저장소 생성 했으니 로컬 저장소의 파일을 GitHub에 올려보자. 1. 생성한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 버튼을 눌러 복사 해준다. 2. 로컬 저장소 폴..

Git & GitHub 2024.01.30

[Git] 4. Git 커밋하기(commit)

커밋(Commit)이란? 파일을 버전으로 만드는 것. 버전으로 만들어서 원하는 버전으로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첫 번째 버전 만들기 제일 처음 커밋을 할 때는 GitHub 원격 저장소를 사용하기 위한 GitHub의 계정 정보를 등록을 해준 뒤 커밋을 해야한다. 따라서 GitHub 회원가입을 미리 해야한다. 1. 커밋 할 파일이 있는 폴더에서 우클릭 -> Git Bash Here 클릭 현재 README에는 "1. 작성" 이 적혀있다. 2. GitHub 가입한 E-mail 등록 해주자. git config --global user.email "GitHub 메일" 3. GitHub 계정 이름 등록.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Hub 계정 이름" 4. 커밋에 추가 할 파일을 ..

Git & GitHub 2024.01.30

[Git] 3. Git 로컬 저장소 만들기

버전관리 시 가장 먼저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담은 폴더(저장소)를 버전 관리가 가능하게 만들어줘야 한다. 자신의 폴더를 저장소로 만드는 작업을 git 로컬 저장소를 만들었다고 표현한다. 예시를 위해 README.txt 파일 생성 후 Git_Example 폴더를 Git 저장소로만들었다. 이미 소스 코드가 있다면 자신의 소스코드가 있는 폴더를 저장소로 만들면 된다. 1. 아무 폴더를 생성 한 다음 안으로 들어간다. 메모장을 열고 "1. 작성" 이라고 적어주고 'README' 제목으로 생성한 폴더에 저장. 2. README.txt 가 있는 폴더안에서 우 클릭 후 Git Bash Here 클릭 Git bash를 이 디렉토리로 실행하겠다는 뜻. 3. Git Bash 창이 열림 4. git init 입력 5. [I..

Git & GitHub 2024.01.30

[Git] 2. Git 다운로드 및 설치

- git 다운로드 링크 https://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specific exp git-scm.com - git 설치 방법 1. 자신의 운영체제 선택 2. 본인 운영체제 bit에 맞게 setup 클릭 3. Next 4. Nex..

Git & GitHub 2024.01.26

[Git & GitHub] 1. Git 과 GitHub란?

- 게임 데이터 저장 종료 하기 전에 데이터를 save 한 후 다음날 저장 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이어서 할 수 있는 게임이 있다. 게임을 데이터를 저장 할 때마다 새로운 버전이 생기는 거다. 신지드 - 전사의 그림자 - 소스 코드 버전 관리 게임 데이터를 저장해서 버전을 만드는 것처럼 소스 코드도 버전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버전 마다 깃발을 꽂고 원할 때마다 깃발이 꽂혀 있는 지점으로 자유롭게 이동 할 수 있다. 오류가 난다면 언제든지 이전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어 편안하게 소스를 관리 할 수 있다. 이 것을 버전 관리라고 한다. 이 처럼 소스 코드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 git이다. - 원격 저장소(GitHub) git은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이므로 컴퓨터만 있다면 언제든지 버전을..

Git & GitHub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