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버전관리 시 가장 먼저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담은 폴더(저장소)를 버전 관리가 가능하게 만들어줘야 한다.
자신의 폴더를 저장소로 만드는 작업을 git 로컬 저장소를 만들었다고 표현한다.
예시를 위해 README.txt 파일 생성 후 Git_Example 폴더를 Git 저장소로만들었다.
이미 소스 코드가 있다면 자신의 소스코드가 있는 폴더를 저장소로 만들면 된다.
1. 아무 폴더를 생성 한 다음 안으로 들어간다.
메모장을 열고 "1. 작성" 이라고 적어주고 'README' 제목으로 생성한 폴더에 저장.
2. README.txt 가 있는 폴더안에서 우 클릭 후 Git Bash Here 클릭
Git bash를 이 디렉토리로 실행하겠다는 뜻.
3. Git Bash 창이 열림
4. git init 입력
5.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라고 뜨면 성공
6. 로컬 저장소 초기화를 했으니 이제부터 해당 폴더는 git 로컬 저장소가 되며 사용이 가능하다.
저장소가 된 폴더에 .git 폴더가 자동으로 생성이 되는데 숨겨져 있어 안보일거다.
6-1. 저장소 폴더로 가서 보기 -> 숨김 항목을 선택 해 준다.
6-2 .git 폴더가 보이면 성공이다.
.git 폴더에 로컬 저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7. 로컬 저장소를 삭제하고 싶을 때는 .git 폴더를 삭제해 주면 된다.
반응형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GitHub] 6. GitHub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가져오기(clone) (0) | 2024.01.30 |
---|---|
[Git & GitHub] 5. GitHub에 파일 올리기(Push) (1) | 2024.01.30 |
[Git] 4. Git 커밋하기(commit) (1) | 2024.01.30 |
[Git] 2. Git 다운로드 및 설치 (1) | 2024.01.26 |
[Git & GitHub] 1. Git 과 GitHub란? (0) | 2024.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