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의 욕심으로 도도새는 멸종되었다.
도도새
![](https://blog.kakaocdn.net/dn/bilHh5/btsEKFBMQsd/15HKDGLMPPfM36KpgN1jg0/img.png)
인도양에 있는 아프리카 쪽 모리셔스 섬에 도도새는 살고 있었다.
도도새는 섬에 천적이 없어 날개가 퇴화되었다.
덕분에 새 임에도 불구하고 날지 못하고 덩치는 커지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도도새
비둘기목 도도과의 멸종된 새. 인도양의 모리셔스에 서식했던 새이다. 칠면조보다 크고, 몸무게는 23㎏ 정도이며, 큰 머리에 깃털은 청회색이다. 검은색을 띠는 부리는 약 23㎝이며, 부리 끝은 구
terms.naver.com
도도새 멸종 이유
대항해 시대 1505년 포르투칼인들이 모리셔스 섬에 도착 했다.
날지 못하는 도도새는 포르투칼인들에게 좋은 먹이가 되어 무분별하게 포획되었다.
또 한 배에 있던 원숭이, 쥐가 섬안에 들어오게 되면서 도도새 새끼와 알을 잡아먹었다.
결국 100년 후에 멸망했다.
도도새 복원
2023년 초 도도새를 복원 연구한다는 기사들이 나왔다.
복원을 하는 이유가 기술력 발전, 명예로서 가치가 있지만 과연 생태계에 필요한 일 인가에 대해 생각 해 볼 필요가 있다.
멸종된 도도새를 복원해서 뭐 하려고?
루이스 캐럴의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865)에는 몸집은 비대하고 날개는 왜소한 기묘한 체형의 도도새가 삽화에 등장한다. 그런데 이 동물은 상상 속의 동물이 아니다. 마다가스카르 동
www.hani.co.kr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 환경] 육식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0) | 2024.02.23 |
---|---|
[자연 환경] 농약의 장점과 단점/ 농약이 환경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0) | 2024.02.22 |
인공지능 모델 Gemini(제미나이) 사용법과 후기 / chatGPT, CLOVA X 비교 (0) | 2024.02.13 |
[토익] 토익 독학 공부법 노베이스/ 왕초보/ 영포자 추천 (1) | 2024.02.11 |
[구글 블로그] 구글 애드센스 광고 배경 노란색에서 투명 흰색으로 변경방법 (0) | 202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