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버깅 할때 F10, F11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 F10 : 한 줄씩 실행된다 . 함수가 있어도 무시한다.
- F11 : 한 줄씩 실행된다 .함수가 있으면 함수 안으로 들어가서 한줄씩 실행된다.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순서대로 보면 된다.
1. main() 함수에 Sum() 함수가 동작하게 작성.
![](https://blog.kakaocdn.net/dn/cSLqSO/btsDUduoHEl/pRHO9Hu20emHgawdKkfBX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xPSuC/btsDXzbS9Ri/orY9EmBX7a11c8nWcu6RMk/img.png)
3. F5를 눌러 프로그램 실행 시키면 16번 라인에서 멈춘다.
여기서 F10을 눌러보자
![](https://blog.kakaocdn.net/dn/drKo82/btsDXCzEKaw/w0VtbHy6ZNK00cz6ZMCi31/img.png)
4. 그러면 17번 라인으로 이동한 걸 확인 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pLrWV/btsDXCNbSYA/z8h8wQyAGAWM8y0flsY5n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pLrWV/btsDXCNbSYA/z8h8wQyAGAWM8y0flsY5n1/img.png)
5. 이제 F11을 누르면 어떻게 되나 보자.
프로그램을 재실행 시켜보자. (컨트롤 + 쉬프트 + F5) <- 재실행 단축키.
또 16번 라인에 걸리면 여기서 F11을 눌러보자
![](https://blog.kakaocdn.net/dn/t5CsJ/btsDUcIXixf/jVHwd7ZBMD6UnncX72qRq0/img.png)
6. 프로시저가 Sum 함수 안에 5번라인으로 이동한걸 확인 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Fch8o/btsDUhDy2JQ/FQysOH49VcvB02sTOudDsk/img.png)
7. F10 누르면서 내려오다 보면
![](https://blog.kakaocdn.net/dn/tezUb/btsDZWYr6uH/SHGjiLIqjfXEgZgYLSjZwK/img.png)
8. Sum 함수를 나와서 16번으로 나오게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dGUDMa/btsDW3qLyGo/FUt4nt9wnck7m5lXKDQqkk/img.png)
F10과 F11의 차이점에대해 알아봤다.
아무 함수나 만들어서 직접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반응형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프로그램 종료 시키지 않고 코드 수정하며 디버깅 하기 (3) | 2024.01.26 |
---|---|
[Visual Studio] 호출 스택 보는법 (0) | 2024.01.26 |
[Visual Studio] 중단점 사용법 (0) | 2024.01.26 |
[Visual Studio] 디버깅 이란? (0) | 2024.01.26 |
[Visual studio] 2개 이상의 프로젝트 동시에 실행하기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