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Studio
[Visual Studio] 디버깅 F10 F11 단축키 차이점
Let it out
2024. 1. 26. 09:44
반응형
디버깅 할때 F10, F11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 F10 : 한 줄씩 실행된다 . 함수가 있어도 무시한다.
- F11 : 한 줄씩 실행된다 .함수가 있으면 함수 안으로 들어가서 한줄씩 실행된다.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순서대로 보면 된다.
1. main() 함수에 Sum() 함수가 동작하게 작성.


3. F5를 눌러 프로그램 실행 시키면 16번 라인에서 멈춘다.
여기서 F10을 눌러보자

4. 그러면 17번 라인으로 이동한 걸 확인 할 수 있다.


5. 이제 F11을 누르면 어떻게 되나 보자.
프로그램을 재실행 시켜보자. (컨트롤 + 쉬프트 + F5) <- 재실행 단축키.
또 16번 라인에 걸리면 여기서 F11을 눌러보자

6. 프로시저가 Sum 함수 안에 5번라인으로 이동한걸 확인 할 수 있다.

7. F10 누르면서 내려오다 보면

8. Sum 함수를 나와서 16번으로 나오게 된다.

F10과 F11의 차이점에대해 알아봤다.
아무 함수나 만들어서 직접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반응형